특수교육학과 교육대학원 교과목소개
-
특수교육과교재연구및지도법
(RESEARCH OF EDUCATION TEXT AND TEACHING METHOD OF SPECIAL EDUCATION)특수학교 교육과정을 분석 검토하고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모색한다.
-
특수교육과논리및논술(LOGIC AND ESSAY IN SPECIAL EDUCATION)
특수학교 교육과정을 분석·검토하고 효과적인 논리 및 논술방법을 모색한다.
-
특수교육과교육론(THEORY OF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이론의 변천과정과 현대 이론을 분석 고찰한다.
-
정서및행동장애아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정서장애의 진단 및 처치에 관련된 제이론과 실제를 연구하여 교육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
언어장애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LANGUAGE DISORDERS)
언어과학 및 청각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 청각학의 개요, 청능훈련사의 임상분야, 청각과 언어기관, 해부와 생리, 청각언어장애 검사와 진단, 보청기의 조작 및 훈련, 청능훈련에 대한 제 이론의 탐색을 통한 향후 연구의 바탕을 형성하도록 한다.
-
논문설계연구(METHODOLOGY IN EDUCATIONAL RESEARCH)
학위논문작성과 관련된 제반 준비와 작성에 관한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우수한 논문을 설계하고 구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특수학급경영(MANAGEMENT FOR SPECIAL CLASSES)
일반교육행정 및 특수교육 행정의 기본개념, 교육행정의 조직과 운영 특히 장학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인사 행정, 각국의 특수교육관계 법령과 한국 특수교육진흥법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바람직한 특수교육 행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특수학교 경영 및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제반 사항을 익히게 한다.
-
학습장애아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학습장애의 정의, 원인, 특성, 주요이론, 읽기, 쓰기, 수학 등 주요 교과의 교수전략 등을 다룬다.
-
특수교육공학(SPECIAL EDUCATION ENGINEERING)
특수교육공학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알아본다.
-
시각장애아교육과정및지도(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시각장애아 교육의 이론과 원리를 중심으로 시각장애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 그리고 미래의 전망 등을 다룬다.
-
자폐성장애아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성장애아의 교육실태를 살펴보고 향후방안 및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한다.
-
특수아진단및평가연구(ASSESS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특수아동의 선별, 장애판별, 개별화 교육계획 수립, 배치, 학생 및 프로그램 평가 등을 위해 필요한 진단·평가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익힌다.
-
정신지체아교육론(EDUCATION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정신지체아교육의 기초, 정신지체아의 정의와 분류, 정신지체아 교육조치, 정신지체 교육의 패러다임 이동, 우리나라 정신지체아 교육의 현황과 전망 등 정신지체교육의 기초이론을 다룬다.
-
지체장애아교육(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지체장애의 정의, 원인 및 특성을 이해하고 지체장애와 관련한 다양한 교수 이론과 최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및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과 전략 등의 전반적인 개관을 다룬다.
-
청각장애교육특강(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청각장애교육의 최신이론, 연구동향 및 현장에서의 쟁점에 대해 탐구한다.
-
특수아행동수정의사례연구(CASE STUDIES IN BEHAVIOR MODIFICATION)
각급학교와 가정 그리고 시설 등에서 아동들의 부적응 행동을 수정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행동을 증강시키기 위한 각종 행동수정 기법의 원리와 행동관찰과 특정기법 그리고 강화방법의 구체적인 적용실제를 익히게 하며 특수아동의 행동수정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특수교육과정(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초·중등학교 및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봄과 동시에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내용 및 특성을 이해하여, 이 교육과정의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
특수아통합교육의실제(PRACTICE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통해 통합된 사회생활에 필요한 교과지식과 삶의 방식을 터득 하도록 하며, 교육과정, 생활지도 및 진로 지도,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통합과정을 학습하도록 한다.
-
특수아부모교육(EDUCATION OF PARENTS WITH EXCEPTIONAL CHILDREN)
특수아부모교육의 개념 및 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장애영역별 특수아부모교육과 관련시켜 논의함으로써 특수아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현장연구(FIELD STUDY)
선진시설의 견학과 연수를 통하여 특수교육 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