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학과 일반대학원 교과목소개
-
특수교육세미나(Seminar on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다룸으로써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
특수아진단및평가(Assess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특수아 진단 및 평가와 관련된 개념과 도구들을 다룸으로써 특수아 진단 및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교육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교육연구방법과 관련된 제반사항을 다룸으로써 교육연구의 계획 및 수행 그리고 연구논문의 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현장연구(Field Study)
선진시설의 견학과 연수를 통하여 특수교육 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단일대상연구방법론(Single Subject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 분야에서 중시되는 단일대상연구의 철학적 기초를 이해하고, 실제 연구 수행에 필요한 이론과 단일대상 연구의 주요 기법을 익히고 적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통계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Fundamental Statistics)
최근 특수교육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증거기반(evidence-based)의 중재를 위해서는 과학적인 검증을 거친 교수법에 대한 선별적 활용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양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석ㆍ박사 과정 대학원생에게 최소한의 기본적인 통계학적 지식을 요구하고 있다. 본 과목을 통하여 통계학의 기초 개념 및 다양한 실험설계와 설계에 따른 분석방법을 학습한다.
-
정신지체아심리연구(Psychological Study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인간의 심리이해에 더하여 정신지체아동의 특수한 심리 및 생활태도 등을 이해하고 지도방안을 모색한다.
-
통합교육세미나(Seminar on Inclusion)
통합교육의 배경과 현재 상황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탐색한다.
-
정신지체세미나(Seminar on Mental Retardation)
정신지체아동교육의 문제점을 탐색하고 선진외국의 교육내용과 방법을 한국과 비교하여 발전적 방안을 모색한다.
-
정신지체아교육및교수법(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정신지체아동의 학습특성과 교수-학습이론을 이해하고 특성에 적합한 교수법과 환경모색을 논의한다.
-
특수교육법및행정(Special Education Law and Administration)
정신지체를 포함한 전반적인 장애관련 법 규정과 현행 행정체계를 살펴보고 특수교육발전방안을 모색한다.
-
정서및행동장애세미나(Seminar 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정서 및 행동장애의 정의, 분류, 원인, 및 치료법 등과 관련된 내용들을 폭넓게 다룸으로써 정서 및 행동장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
정서행동장애평가(Evalu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정서 및 행동장애의 평가와 관련된 개념 및 도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정서 및 행동장애아의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행동수정세미나(Seminar on Behavior Modification)
행동수정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이해와 관리능력을 높인다.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세미나(Seminar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정의, 특성, 원인, 및 치료 등을 살펴봄으로써 ADHD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자폐스펙트럼장애세미나(Seminar on Autism Spectrum Disorder)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주요개념(정의, 특성, 원인, 중재 등) 및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ASD의 이론과 연구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의사소통장애아교육세미나(Seminar on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의사소통의 정의와 의사소통장애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
청각장애교육세미나(Seminar on Education of the Hearing Impairments)
청각장애아의 교육 및 발달특성에 관련한 쟁점들에 대해 토의하고 현안문제와 과제들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 청각장애교육의 개선대안을 논의한다.
-
언어발달(Language Development)
언어발달의 인지적, 사회적, 신경학적 기초에 관한 이해와 언어의 의미론적, 통사론적, 화용론적 발달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언어장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청각장애교육및교수법(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을 이해하고, 말하기와 듣기 및 읽기와 쓰기지도를 위한 교수방법을 다룬다.
-
언어장애아진단및평가(Assess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언어장애의 진단 및 평가를 위한 다양한 검사도구의 사용과 분석 및 해석방법을 학습하고 적절한 중재계획을 모색하도록 한다.
-
시각장애교육및교수법(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관한 주요 과제들을 탐구하고 시각장애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 필요한 교구제작 및 교육자료 개발 등을 포함한 교과별 교수법을 다룬다.
-
저시력세미나(Seminar on Low Vision)
저시력 학생의 기능시각평가, 시각기술교수프로그램, 저시력 기구 활용 훈련, 저시력 학생을 위한 환경수정 및 학습지원 전략 등을 다룬다.
-
시각중복장애세미나(Seminar on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진단 및 평가, 교육과정 및 교수법, 재활 및 복지 프로그램 등에 관한 주제를 탐구ㆍ논의한다.
-
보행세미나(Seminar on Orientation and Mobility)
시각장애 학생의 보행교육을 위한 진단 및 평가, 감각훈련교수, 방향정위 전략교수, 이동기술훈련교수 등을 다루고 시각장애 영유아, 시각중복장애, 중도실명시각장애성인 및 시각장애노인들을 위한 보행진단 및 교수전략 등을 논의한다.
-
지체및중복장애아교육및교수방법
(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Students with Physical or Multiple Disabilities)정신지체아동의 학습특성과 교수-학습이론을 이해하고 특성에 적합한 교수법과 환경모색을 논의한다.
-
지체및중복장애아의사소통연구
(Research in Communication for Children with Physical or Multiple Disabilities)지체 및 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의 개념과 진단 방법, 교수-학습전략에 대하여 학습하고 특수교육 현장과 연계된 사례연구를 통하여 교육 및 생활에서의 적용과 병원에서의 적용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적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
지체장애아테크놀로지연구(Research in Technology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지체장애 아동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컴퓨터 및 기타 공학을 이용한 교수 및 교수 전략, 컴퓨터 보조기구 사용, 상업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하이테크 기술의 활용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특수교육의 발전을 도모한다.
-
지체및중복장애아교육세미나(Seminar on Students with Physical or Multiple Disabilities)
지체 및 중복장애아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과 교육의 실제를 위해 진단 및 평가,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등의 주제를 탐색하여, 교육의 쟁점을 분석한다.
-
중도장애아교수방법세미나(Seminar i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중도장애 아동의 특성에 따른 교수전략 개발 및 관련 주제에 대한 최근 문헌을 고찰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적 이슈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적용 능력을 기른다.
-
학습장애아교수법연구(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본 교과를 통해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및 쓰기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게 된다. 즉, 읽기 및 쓰기 장애를 가진 학생의 판별 및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최신 주요 교수법 연구 동향과 증거기반 교수법에 대한 이해와 습득을 목표로 한다.
-
학습장애아연구방법론세미나(Seminar in Intervention Research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본 교과에서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심도 있게 학습한다. 즉 메타연구부터 단일대상연구까지 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중재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함로써 좋은 연구에 대한 관점과 기능을 습득하도록 한다.
-
학습장애최신이슈및경향(Trends and Issues in Learning Disabilities)
본 교과에서는 학습장애와 관련된 최신 이슈 및 경향에 대해 학습한다. 학습장애 영역은 다른 장애 영역에 비해 다양한 이슈와 새로운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에 본 과목을 통하여 주요 국가의 학습장애 학생 관련 이론적 경향, 서비스 모델, 그리고 논쟁점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최신 경향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
학습장애아를위한테크놀로지(Technology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본 교과에서는 학습장애 아동을 위해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최근에 새로운 유형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활용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학습장애아판별및중재(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본 교과는 학습장애 아동의 판별, 의뢰, 교육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특히 최근 강조되고 있는 조기 진단 및 판별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방법을 학습하고,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연계 방안(중재반응모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