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적
-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의 AI·SW의 활용이 높아짐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
- 인문학, 통계학, 컴퓨터과학, 수학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는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맞는 다학제적 교육 체계를 수립하여 최신 데이터 분석 기술과 AI 활용 능력을 보유한 인재 양성
교육목표
- AI·SW 융합 역량 고도화: SW전공자뿐 아니라 비전공자도 참여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통해 AI·SW 융합형 인재로 육성하여 석사급 이상의 고급 인재 양성
- 연구 중심 인재 양성: 프로젝트 기반 R&D 및 역량 강화 학습 중심의 교육을 통해 풍부한 연구 경험과 문제해결 역량 강화
- 산업 맞춤형 전문가 양성: 지역 특화 산업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 및 연구 과제 수행을 통해 현장 밀착형 전문 인력 배출
- 지역 기업 연계형 교육 운영: 산학 협력을 통한 인턴십 제공 및 실무 중심의 교육으로 산업 현장 적응력 제고
연혁 및 특징
연혁
- 2025년 9월 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학과(석사,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신설
특징
-
1) 학·석사 연계 과정 활성화
- 학부-대학원 간 연계 강화를 위한 졸업 기간 단축 지속 지원, 진학 장려를 위한 장학금 확대
- 학부와 석사과정 간의 학습 내용을 원활하게 이어주는 통합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학부에서 배운 기본 개념과 기술을 석사과정에서 심화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연계 교육과정을 설계(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인공지능 등 핵심 분야에 대한 연속적인 학습을 지원) 2) 산학협력프로젝트 운영
- 산업계의 최신 요구와 트렌드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업데이트하고, 기업의 협조를 통해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설계
- 학부와 석사과정 간의 학습 내용을 원활하게 이어주는 통합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학부에서 배운 기본 개념과 기술을 석사과정에서 심화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연계 교육과정을 설계(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인공지능 등 핵심 분야에 대한 연속적인 학습을 지원) 3) 대학 산업체 연계 운영
- 산학협력 프로젝트와 인턴십 경험을 바탕으로 졸업생들의 취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
- 산학협력 프로젝트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을 희망할 경우, 창업 지원 프로그램과 자문을 제공
취업 및 진로
- 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졸업생들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급 데이터 분석 및 AI 활용 전문가로 활동하게 됩니다.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분야에서 지능형 시스템 개발과 예측 모델링을 담당하며, 자율주행, 로봇공학, 의료 및 금융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분야에서는 대규모 데이터 분석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며, 마케팅 및 소비자 분석 등 비즈니스 분야에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일을 합니다.
- 산업 응용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도 졸업생들은 제조업, 물류,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율성 증대와 혁신을 이끌어냅니다. 금융 및 보안 분야에서는 리스크 관리, 이상탐지 및 보안 시스템 강화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졸업생들은 의료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맞춤형 치료법 제시 및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며, 교육 및 연구 분야에서 학문적 연구와 산업 맞춤형 연구를 통해 혁신을 이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스타트업 및 창업에서도 데이터사이언스 기반 제품 개발과 서비스 창출을 통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이와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졸업생들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발전을 선도할 것입니다.
소속학과 교수진
성명 | 직위 | 최종학위 | 출신대학 | 출신대학원 | 세부전공 | 내선번호 |
---|---|---|---|---|---|---|
변재영 | 교수 | 공학박사 | 전자공학 | 7021 | ||
강문수 | 교수 | 공학박사 | 정보통신 | 7475 | ||
양희덕 | 교수 | 공학박사 | 컴퓨터공학 | 7710 | ||
이범식 | 교수 | 공학박사 | 신호처리 | 7736 | ||
전찬준 | 교수 | 공학박사 | 전기전자컴퓨터공학 | 7094 | ||
김성기 | 교수 | 공학박사 | 컴퓨터공학 | 7762 | ||
김원열 | 교수 | 공학박사 | 전자공학 | 7763 | ||
최규호 | 교수 | 공학박사 | 제어계측공학 | 7059 | ||
김현일 | 교수 | 공학박사 | 정보보호 | 7059 | ||
김준형 | 교수 | 공학박사 | 메카트로닉스 | 6165 | ||
이건우 | 교수 | 공학박사 | 메카트로닉스 | 6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