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적
거세게 밀려오고 있는 4차 산업 혁명시대에 산·학·연·관이 연합하여 과학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을 촉진하고 신시장 비즈니스모델(BM)을 발굴하여, 신사업을 희망하는 기업과 창업자 등에게 ‘One-Stop 기술사업화 플랫폼’을 제공할수 있도록 과학기술융합 혁신인재를 양성합니다.
교육목표
과학기술융합은 과학기술 기반 실용화 생태계 조성 및 창의융합형 과학기술실용화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 실용화 및 과학기술창업 관련 특화 산업 중심의 이론과 실무적 감각을 보유한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이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 성과의 보다 효율적인 시장 안착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대·운영해 나가는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우수한 공학도를 양성한다.
연혁 및 특징
2022년 일반대학원 과학기술정책융합학과 설립 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의 접목 및 융합을 통해 지금보다 더 고도화된 기술 사회가 도래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위해서 과학기술의 정책, 실무, 창업 등 관련분야 전반에 걸쳐 선제적이고 혁신적인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 실용화 생태계 조성 및 특화산업 전주기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매년 연구비로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국민총생산(GDP) 대비 전체 R&D 투자비율도 세계 최상위 수준이지만 대학과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창출된 우수·유망 연구성과들의 사업화 성공률은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과학기술정책융합학과 연구개발 최종목표는 사업화라는 것을 인식하고 사업화 중심 취업·창업 중심의 혁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개설되었다.
취업 및 진로
과학기술 실용화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배출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R&D 기반 과학기술 성과를 산업계에 이전․사업화를 촉진하고, 학제 단위 및 교육 공급자 중심의 과학기술 정책과 기술경영 교육 한계를 극복하여 실용화 전문 교육과정을 통해 실행력이 높은 인재가 양성되어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활동하게 된다.
국가 성장과 R&D 성과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통해 대기업의 경우, 과학기술 실용화 전문인력 확보를 통한 자체 연구관리 고도화 및 연구성과 확대에 대한 직접적인 성과 창출에 기여하며, 대학과 공공부분에 협력 채널 확보를 통한 개방형 혁신 활동 수행 네트워크 확보가 기대된다.
중소기업의 경우, 연구인력이 연구활동과 연구기획 및 실용화 업무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음을 고려하여 연구인력들에 대한 과학기술 실용화 재교육 수혜 기회 제공과 ‘기획-수행-성과 활용·실용화’ 선순환 지속성장 역량이 강화될 것이다.